이집트 제5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제5왕조는 기원전 25세기와 24세기에 약 150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로, 9명의 파라오가 있었다. 첫 번째 왕인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족과 혼인 관계를 통해 왕위에 올랐으며, 헬리오폴리스의 라 신앙을 중요시하며 태양 신전을 건설했다. 이 시기에는 피라미드 텍스트가 등장하고, 시나이 반도와 푼트로의 원정 및 교역이 이루어졌다. 제5왕조의 마지막 왕인 우나스 이후 이집트 제6왕조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5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4왕조
이집트 제4왕조는 기원전 2613년부터 2498년까지 존속한 고왕국 시대의 왕조로, 스네프루 왕을 시작으로 쿠푸, 카프레, 멘카우레 등 유명한 파라오들이 기자의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건설을 주도하며 태양신 라 숭배 강화, 사후 세계관 변화 등의 종교적 변화를 이끌었다. - 기원전 24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6왕조
이집트 제6왕조는 고왕국의 마지막 왕조로, 왕권 약화와 지방 귀족 성장이 두드러진 가운데 피라미드 텍스트 등장, 활발한 무역과 원정 활동 등의 특징을 보였으나, 쇠퇴 원인과 마지막 왕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기원전 24세기 이집트 - 테티
테티는 이집트 제6왕조의 파라오로, 내정 안정을 위해 결혼을 통해 세력을 억제하고 관료제 개혁을 시도했으며, 재위 13년 차에 암살당했다.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0왕조
이집트 제10왕조는 헤라클레오폴리스를 중심으로 성립되었으며, 제11왕조와의 갈등 속에서 이집트 일부를 지배하다가 멘투호테프 2세에게 멸망했고, 케티 3세와 메리카레 외 파라오 존재가 불확실하며, 당시 문서는 왕조 이해에 중요한 사료이다.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1왕조
이집트 제11왕조는 기원전 21세기 초 테베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멘투호테프 2세의 통치 하에 이집트를 재통일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며 활발한 대외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문화적 번영을 이룩했으나, 멘투호테프 4세 이후 아멘엠하트 1세에 의해 멸망하고 제12왕조로 이어졌다.
이집트 제5왕조 | |
---|---|
개요 | |
국가 | 고대 이집트 |
시대 | 이집트 고왕국 |
수도 | 멤피스 |
공용어 | 이집트어 |
종교 | 고대 이집트 종교 |
통치자 | |
정치 체제 | 절대군주제 |
칭호 | 파라오 |
초대 파라오 | 우세르카프 (7–8년 통치) |
마지막 파라오 | 우나스 (15–30년 통치) |
역사 | |
이전 | 이집트 제4왕조 |
이후 | 이집트 제6왕조 |
시작 | 기원전 2498년경 |
종료 | 기원전 2345년경 |
역대 파라오 | |
기타 | |
위치 | 사카라 |
![]() |
2. 역사
마네토[1]의 기록에 따르면 엘레판티네영어[2] 출신의 9명의 왕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그 출신지가 올바른지는 알 수 없지만, 그가 기록한 왕명은 다른 왕명표나 기념물의 기록과 일치한다[3]。
제5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지는 것은 우세르카프이다.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 제드에프라의 공주 label=네페르헤테프/네페르헤테프 (공주)영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4]。그리고 마찬가지로 제4왕조의 왕인 멘카우라 (제드에프라의 조카)의 공주 켄타카우스 1세영어를 아내로 맞아 왕위에 올랐다. 이처럼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족과 매우 밀접한 혈연 관계를 맺고 있지만, 적어도 마네토는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조의 교체로 간주하고 있으며 현대의 구분도 그에 따른다. 우세르카프가 왕위를 획득한 실제 경위는 불분명하지만, 그가 가진 제4왕조의 왕족과의 혼인 관계가 중요한 요소였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웨스트카 파피루스라고 불리는 파피루스에 이집트 제2중간기에 기록된 문학 작품 『마법사 제디의 이야기[5]』에는 마법사 제디영어가 쿠푸 왕에게 쿠푸 왕의 왕조가 그의 자식 카프라와 멘카우라 사이에서만 이어지고, 태양신 라가 라 신관의 아내 레데제데트영어에게서 낳은 세 쌍둥이, 우세르카프, 사후라, 네페릴카라 등의 새로운 왕가에 왕위를 빼앗길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에 사학적 요소를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만, 이집트에서는 마네토보다 1500년 이상 전에 이미 우세르카프의 즉위가 왕가의 교체로 여겨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가의 교체로 간주하는 생각은 마네토의 독자적인 견해가 아니라 고대 이집트의 전통적인 역사 인식이었다.
왕조의 제례와 행정적인 면에서는 라를 모시는 헬리오폴리스(고대 이집트어 명칭 이우누)가 중요성을 더했다[6]。또한, 우세르카프 이후의 제5왕조의 왕들은 태양 신전을 잇따라 건설했으며, 라에 대한 기증을 열심으로 행했던 것도 알려져 있다.
우세르카프의 아들 사후라의 치세에는 아시아 (현재의 레바논, 팔레스타인 지방)와 리비아로의 원정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사실은 사후라가 건설한 피라미드에 남겨진 채색 벽화에서 알 수 있다[7]。또한 팔레르모 석이라고 불리는 비문에는 그의 치세에 푸트 (아마 현재의 소말리아 지방)와의 통상에 언급하는 내용이 있다[8]。사후라 사후, 그의 아들 (또는 동생)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 (카카이 네페르이르카라)가 즉위했다. 네페르이르카라는 제5왕조의 왕 중에서는 최대의 피라미드를 남겼다.
네페르이르카라 이후의 몇몇 왕은 통치 연수가 짧고 기록도 빈약하다. 네페르이르카라의 뒤를 이은 것은 솁세스카레였다. 솁세스카라의 것으로 추정되는 건조물이 몇 개 발견되었지만, 그 실태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져 있지 않다. 일설에는 사후라의 아들이라고 하지만 불분명하다. 솁세스카라 다음에 네페르이르카라와 왕비 켄타카우스 2세영어의 아들인 네페르에프라가 즉위했다. 그러나 그의 치세도 짧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페르에프라의 묘에서 그의 미라의 일부가 발견되었는데, 그 분석 결과 네페르에프라는 20대 초반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9]。
네페르에프라의 사후, 그의 동생인 니우세르라가 왕위를 이었다. 마네토는 니우세르라 (마네토의 기록에서는 라투레스)가 44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하지만 증거는 빈약하다. 멘카우호르에 대해서도 기록은 적다[10]。멘카우호르 다음의 제드카라 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제드카라의 이름이 네페르이르카라 왕의 장례전 유적에서 발견된 파피루스 문서의 조각에 등장한다. 이것은 한때 가장 오래된 알려진 파피루스 문서였다[10]。또한 제드카라를 섬긴 재상 프타호테프영어는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임호테프 등과 함께 현인으로 고대 이집트에서 이름이 알려진 인물이었다.
그의 뒤를 이어 마지막 왕이 되는 우나스도 태양 신전을 건설하지 않았으며, 이집트 제5왕조에서의 신앙의 변화가 추측된다. 마네토 등의 기록에 의해 우나스에게는 장기간의 통치 기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상세는 불명하다. 우나스와 관련된 중요 사항은 피라미드 텍스트의 등장이다. 종래 피라미드의 내부에는 비문 등이 아무것도 기록되지 않았지만, 우나스 왕 시대에 처음으로 왕의 장례 때 외워진 주문 등이 기록되게 되었다[11]。이 문서로부터 당시 이집트인의 사생관과 종교관을 읽을 수 있다. 아마 우나스 왕의 피라미드 텍스트의 내용은 파피루스이거나 구전으로 전해져 온 더 오래된 문서 형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12]。그 때문에 종교사적, 또한 정치사적으로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다. 우나스 왕은 후계자를 얻지 못했던 것 같아 사후에 후계자 문제가 발생했다[13]。
기원전 2345년경에 우나스 왕의 딸로 여겨지는 label=이푸트 1세/이푸트영어[14][15]를 아내로 맞이한 테티 1세가 왕위를 획득했다. 이것으로 제5왕조와 이집트 제6왕조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2. 1. 왕조의 기원
파라오 우세르카프가 제5왕조를 어떻게 창건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중왕국 시대에 쓰여진 웨스트카르 파피루스에는 제4왕조의 쿠푸왕이 사크부의 라 사제의 아내가 낳은 세 쌍둥이가 그와 그의 후계자를 전복할 것이라는 예언을 받고,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로 이름 붙여진 이 아이들을 죽이려 했다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기껏해야 전설일 뿐이라고 인식하고, 한 왕조에서 다른 왕조로 어떻게 전환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무지함을 인정한다.웨스트카 파피루스라고 불리는 파피루스에 이집트 제2중간기에 기록된 문학 작품 『마법사 제디의 이야기[5]』에는 마법사 제디영어가 쿠푸 왕에게 쿠푸 왕의 왕조가 그의 자식 카프라와 멘카우라 사이에서만 이어지고, 태양신 라가 라 신관의 아내 레데제데트영어에게서 낳은 세 쌍둥이, 우세르카프, 사후라, 네페릴카라 등의 새로운 왕가에 왕위를 빼앗길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에 사학적 요소를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만, 이집트에서는 마네토보다 1500년 이상 전에 이미 우세르카프의 즉위가 왕가의 교체로 여겨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가의 교체로 간주하는 생각은 마네토의 독자적인 견해가 아니라 고대 이집트의 전통적인 역사 인식이었다.
마네토[1]의 기록에 따르면 제5왕조는 엘레판티네영어[2] 출신의 9명의 왕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3] 그 출신지가 올바른지는 알 수 없지만, 그가 기록한 왕명은 다른 왕명표나 기념물의 기록과 일치한다[3]。
제5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지는 것은 우세르카프이다.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 제드에프라의 공주 label=네페르헤테프/네페르헤테프 (공주)영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4]。그리고 마찬가지로 제4왕조의 왕인 멘카우라 (제드에프라의 조카)의 공주 켄타카우스 1세영어를 아내로 맞아 왕위에 올랐다. 이처럼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족과 매우 밀접한 혈연 관계를 맺고 있지만, 적어도 마네토는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조의 교체로 간주하고 있으며 현대의 구분도 그에 따른다. 우세르카프가 왕위를 획득한 실제 경위는 불분명하지만, 그가 가진 제4왕조의 왕족과의 혼인 관계가 중요한 요소였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2. 2. 초기 왕조 (우세르카프 ~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우세르카프가 어떻게 이집트 제5왕조를 창건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중왕국 시대에 쓰여진 웨스트카르 파피루스에는 제4왕조 쿠푸왕이 사크부의 라 사제 아내가 낳은 세 쌍둥이가 그와 그의 후계자를 전복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로 이름 붙여진 이 아이들을 죽이려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5] 그러나 최근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전설일 뿐이라고 인식하고, 한 왕조에서 다른 왕조로 어떻게 전환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무지함을 인정한다.이 왕조 동안 고대 이집트 종교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겪었다. 왕실 무덤에 새겨진 장례 기도문(피라미드 텍스트)의 가장 초창기 사본이 나타난다. 라 신 숭배가 더욱 중요해졌으며, 우세르카프부터 멘카우호르 카이우까지의 왕들은 아부시르 또는 그 근처에 라 신에게 헌정된 사원을 건설했다.[6]
제5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지는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 제드에프라의 공주 네페르헤테프/네페르헤테프 (공주)영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4]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 멘카우라의 공주 켄타카우스 1세영어를 아내로 맞아 왕위에 올랐다. 이처럼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 왕족과 매우 밀접한 혈연 관계를 맺고 있지만, 적어도 마네토는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조의 교체로 간주하고 있으며 현대의 구분도 그에 따른다.
웨스트카 파피루스에 따르면, 마법사 제디영어가 쿠푸 왕에게 그의 왕조가 그의 자식 카프라와 멘카우라 사이에서만 이어지고, 태양신 라가 라 신관의 아내 레데제데트영어에게서 낳은 세 쌍둥이, 우세르카프, 사후라, 네페릴카라 등의 새로운 왕가에 왕위를 빼앗길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한다.
왕조의 제례와 행정적인 면에서는 라를 모시는 헬리오폴리스(고대 이집트어 명칭 이우누)가 중요성을 더했다.[6] 또한, 우세르카프 이후의 제5왕조의 왕들은 태양 신전을 잇따라 건설했으며, 라에 대한 기증을 열심히 행했던 것도 알려져 있다.
우세르카프의 아들 사후라의 치세에는 아시아 (현재의 레바논, 팔레스타인 지방)와 리비아로의 원정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사실은 사후라가 건설한 피라미드에 남겨진 채색 벽화에서 알 수 있다.[7] 팔레르모 석에는 그의 치세에 푸트 (아마 현재의 소말리아 지방)와의 통상에 언급하는 내용이 있다.[8] 사후라 사후, 그의 아들 (또는 동생)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 (카카이 네페르이르카라)가 즉위했다. 네페르이르카라는 제5왕조의 왕 중에서는 최대의 피라미드를 남겼다.
2. 3. 중기 왕조 (솁세스카레 ~ 니우세르레)
마네토[1]에 따르면 이집트 제5왕조는 엘레판티네 출신의 9명의 왕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그가 기록한 왕명은 다른 왕명표나 기념물의 기록과 일치한다.[3]네페르이르카라 이후의 몇몇 왕은 통치 연수가 짧고 기록도 빈약하다. 네페르이르카라의 뒤를 이은 것은 솁세스카레였다. 솁세스카라의 것으로 추정되는 건조물이 몇 개 발견되었지만, 그 실태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져 있지 않다. 일설에는 사후라의 아들이라고 하지만 불분명하다. 솁세스카라 다음에 네페르이르카라와 왕비 켄타카우스 2세/켄타카우스 2세영어의 아들인 네페르에프라가 즉위했다. 그러나 그의 치세도 짧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페르에프라의 묘에서 그의 미라 일부가 발견되었는데, 그 분석 결과 네페르에프라는 20대 초반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9]
네페르에프라의 사후, 그의 동생인 니우세르레가 왕위를 이었다. 마네토는 니우세르레 (마네토의 기록에서는 라투레스)가 44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하지만 증거는 빈약하다.[10]
2. 4. 후기 왕조 (멘카우호르 ~ 우나스)
멘카우호르 이후 제드카레 왕에 대해서는 기록이 적지만, 제드카레의 이름은 네페르이르카라 왕의 장례전 유적에서 발견된 파피루스 문서 조각에 등장한다.[10] 이 파피루스 문서는 한때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졌다.[10] 제드카레를 섬긴 재상 프타호테프는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임호테프 등과 함께 고대 이집트에서 현인으로 이름이 알려진 인물이었다. 비왕족 이집트인 중, 제드카레의 재상이었던 프타호테프는 그의 지혜로 명성을 얻었으며, 후대의 필사자들은 ''프타호테프의 격언''을 그에게 귀속시켰다. 왕족의 묘와 마찬가지로 비왕족의 묘도 비문으로 장식되었지만, 기도나 주문 대신 벽에는 고인의 생애가 적혀 있었다.제드카레는 중요한 변화로 태양 신전을 건설하지 않았다.[10] 그의 뒤를 이은 마지막 왕인 우나스도 태양 신전을 건설하지 않아, 이집트 제5왕조에서 신앙의 변화가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마네토 등의 기록에 따르면 우나스는 장기간 통치했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 우나스와 관련된 중요한 사항은 피라미드 텍스트의 등장이다. 이전까지 피라미드 내부에는 비문이 없었지만, 우나스 왕 시대에 처음으로 왕의 장례 때 외워진 주문 등이 기록되었다.[11] 이 문서로부터 당시 이집트인의 사생관과 종교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종교사적, 정치사적으로 중요한 사료이다. 우나스 왕의 피라미드 텍스트는 파피루스나 구전으로 전해져 온 더 오래된 문서 형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추정된다.[12] 우나스 왕은 후계자를 얻지 못해 사후에 후계자 문제가 발생했다.[13]
3. 통치
이집트 제5왕조는 기원전 25세기와 24세기에 약 150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다. 학자들은 제5왕조의 여러 연대를 제시했는데, 2513-2374, 2510-2370, 2510-2460, 2504-2345, 2498-2345, 2494-2345, 2465-2323, 2454-2297, 2450-2335, 2450-2325, 2435-2306, 2392-2282등이 그것이다. 왕들의 상대적인 계승은 역사적 자료와 고고학적 증거 사이에서 모호한 셉세스카레의 통치에 대한 모순이 있어 완전히 확정되지 않았다.
노멘(개인 이름) | 프레노멘(왕위 이름) | 호루스 이름 | 이미지 | 추정 통치 기간 | 피라미드 | 여왕 |
---|---|---|---|---|---|---|
우세르카프 | 우세르카프 | 이리마아트 | ![]() | 7년 | 피라미드 in 사카라 | 켄트카우스 1세 ? 네페르헤테페스 |
사후레 | 사후레 | 네브카우 | ![]() | 13년 5개월 12일 | 피라미드 in 아부시르 | 메레트네브티 |
카카이 | 네페르이르카레 | 우세르카우 | ![]() | 20년 | 피라미드 in 아부시르 | 켄트카우스 2세 |
이시 | 네페레프레 | 네페르카우 | ![]() | 2~3년 | 네페레프레의 미완성 피라미드 in 아부시르 | 켄트카우스 3세 ? |
네체르우세르 | 셉세스카레 | 세켐카우 | ![]() | 몇 달 | 아부시르의 미완성 피라미드? | |
이니 | 니우세르레 | 세티브타위 | ![]() | 24~35년 | 피라미드 in 아부시르 | 렙티누브 |
카이우 | 멘카우호르 | 멘카우 | ![]() | 8 or 9년 | "머리 없는 피라미드" in 사카라 | 메레산크 4세? |
이세시 | 제드카레 | 제드카우 | ![]() | 33~44년 | 피라미드 in 사카라 | 세티브호르 |
우나스 | 우나스 | 와지타위 | ![]() | 15~30년 | 피라미드 in 사카라 | 네베트 케누트 |
마네토는 제5왕조의 왕들이 엘레판틴에서 통치했다고 기록했지만, 고고학자들은 그들의 궁전이 여전히 이네브-헤지("하얀 벽")에 위치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발견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시나이의 와디 마가레와 와디 카리트로 터키석과 구리를 채굴하기 위한 탐험대가 파견되었고, 아부 심벨 북서쪽 채석장으로 편마암을 채취하기 위한 탐험대가 파견되었다. 말라카이트, 몰약, 엘렉트럼을 얻기 위해 남쪽 푼트로 무역 탐험대가 파견되었으며, 비블로스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유물은 그 페니키아 도시로 파견된 외교 탐험을 증명한다. 마르마라해 근처 도라크 유적에서 제5왕조 여러 왕들의 이름이 새겨진 유물이 발견된 것은 무역의 증거일 수 있지만,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3. 1. 연대기
이집트 제5왕조는 기원전 25세기와 24세기에 약 150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한 9명의 왕조를 말한다. 학자들은 제5왕조의 여러 연대를 제시했다. 2513-2374, 2510-2370, 2510-2460, 2504-2345, 2498-2345, 2494-2345, 2465-2323, 2454-2297, 2450-2335, 2450-2325, 2435-2306, 2392-2282등이 그것이다. 왕들의 상대적인 계승은 역사적 자료와 고고학적 증거 사이에서 모호한 셉세스카레의 통치에 대한 모순이 있어 완전히 확정되지 않았다.3. 2. 파라오 목록
네페르헤테페스케누트